갤러리
1지역 성지순례 ch.1 20251101
- 등록일
- 2025-11-08
- 조회
- 234






1지역 양주순교 성지순례 및 동구릉 탐방 20251101
120여명의 1지역 식구들이 들뜬 마음으로 성당에 모였습니다.
모두들 소풍가는 기분으로 약간의 얼굴은 들뜬 모습이였습니다
출발전에 주임신부님의 강복을 받으며
안전하게 그리고 많은 은총을 받고 오세요. 하시자
네, 지역 식구들은 한결같이 잘다녀 오겠습니다.라고 응답하며
버스에 올랐다.
집행부에서 준비해온 간식 주머니와 떡 그리고 구분을 위한 스카프를 나누어 주었다.
1호차(1구역) 노란띠
2호차(2구역) 파런띠
3호차(3,4구역) 빨간띠
그리고 묵주기도를 드리며
오늘 방문할 성지와 동구능에 대한 설명을 하면서 주의사항을 알려 주었다.
모두들 귀를 쫑끗 세우며 하나라도 놓치지 않을려는 표정이였다.
청년팀의 역할은 모두에게 편안하고 질서와 안전을 우선시 한 봉사였다.
1. 선발대로 출발하여 현지에서 십자가의 길 시작 안내
2. 십자가의 길 마치신 분들 성당 안내
3. 성당에서 미사 전 착석 안내
4. 미사 후 식당 안내
그밖의 동구능 사전 해설자 섭외와 입장 안내까지 청년 선발대에서 수고 해 주었다.
오늘의 순례와 탐방에 대하여 설명드리면
양주 순교 성지는
경기도 양주시 남면 매곡리에 위치한 천주교 순교 성지로, 조선 후기 천주교 박해 시기에 신앙을 지키다 순교한 많은 신자들의 피가 스며 있는 장소입니다.
역사적 배경으로는
19세기 초~중반, 조선 정부는 천주교를 “사교(邪敎)”로 규정하고 혹독한 박해를 가했습니다.
양주는 당시 서울과 의정부 사이의 교통 요지로, 신앙인들의 왕래가 많았던 지역이었습니다.
**기해박해(1839년)**와 병인박해(1866년) 때 다수의 신자들이 체포되어 이곳에서 처형되었거나 고문을 받았습니다.
특히, 서울로 압송되기 전 이곳 양주 관아 앞 형장에서 순교한 이들이 많아 “양주 순교 성지”로 불리게 되었습니다.
유적지로는
양주 향교는 양주순교성지 옆 조선 시대 지방 교육기관으로, 박해 시기 유교 사회 속에서 천주교가 어떤 대립과 만남을
가졌는지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장소입니다.
그 다음 코스는
동구릉(東九陵) 이였습니다.
서울 근처, 경기도 구리시 인창동에 있는 조선 왕릉군 중 하나입니다.
“동구릉”은 조선 왕조의 여러 임금과 왕비의 무덤이 모여 있는 곳으로,
조선의 역사를 대표하는 최대 규모의 왕릉군이에요.
세계문화유산: 2009년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동구릉에 모셔진 왕과 왕비들 총 9기의 능(陵) 이 있습니다.
건원릉(태조 이성계)
목릉(문종과 현덕왕후)
혜릉(예종과 안순왕후)
강릉(혜경궁 홍씨, 사도세자 부인)
원릉(경종과 선의왕후)
수릉(순조와 순원왕후)
휘릉(인종과 인성왕후)
목릉(문종)
현릉(인조와 인열왕후)
※ 실제로는 9개의 능에 17명의 왕과 왕비가 모셔져 있습니다.
‘동구릉’이란 이름은 **서울(한양)**의 동쪽 구릉지대에 있다고 해서 붙은 이름입니다.
이로서 모든 순례길을 마무리 하였습니다.
1지역의 식구들은 지역장과 구역장 반장을 구심점으로 질서있는 모습과
구역별로 묵주기도하는 모습은 하나도 흐트럼 없이 공동체 일체감이였으며
사진 촬영동안 그들의 맑고 밝은 표정과 포즈는 우리 모두 별내성당의
모델이며 자랑이였습니다.
그리고
모두 안전하게 다녀올수 있었던 이번 순례길은
주님의 은총이 함께한 멋진 순례와 탐방이였습니다.
끝까지 협조해주신 1지역 식구들께 다시한번 감사드립니다.
사진.글 제공 : 홍보문화분과 커룹팀
인사말. 자료제공 : 1지역장